무더운 여름을 맞아 오랜만에 에어컨을 틀었는데, 이게 웬일 ㅠㅠ
에러코드가 뜨면서 에어컨이 가동되지 않는다면 난감한데요.
일단 해결 가능한지 확인 후, 서비스센터에 접수해보시기 바랍니다!
▼따라할 시간이 없다면 아래 '바로가기'를 이용하세요.▼
삼성 에어컨 에러 코드
에어컨이 작동하지 않으면서 에러코드가 조회되나요?
이 코드는 에어컨에 문제가 생겼을때 컨트롤 패널에 표시되는데요.
어떤 문제가 있는지 알려주는 코드입니다.
코드별로 원인이 다르니 A/S 신청 전 자가해결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세요.
에러 코드 종류 (E1~8 코드)
1. E1
원인 | E1 에러 코드는 주로 공기 센서 문제를 나타냅니다. 센서 고장, 배선 문제, 혹은 센서가 막혀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먼저 에어컨을 껐다가 다시 켜보세요. 문제가 계속되면 공기 센서를 청소하거나 교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. 센서를 막는 장애물이 없는지 확인하세요. 스스로 해결하기 어렵다면 전문가를 부르는 것이 좋습니다 |
2. E2
원인 | 실내 유닛 팬 모터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냅니다. 모터 고장, 배선 문제, 혹은 팬이 막혀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팬이 막혀 있는지 확인하고, 장애물을 제거하세요. 문제가 계속되면 배선을 점검하거나 모터를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. 역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|
3. E5
원인 | 실외 유닛의 컴프레서 문제를 의미합니다. 컴프레서 고장, 배선 문제, 혹은 냉매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실외 유닛 주변에 손상이나 누출이 있는지 확인하세요. 모든 것이 괜찮아 보이면 더 깊은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컴프레서 교체는 DIY 작업이 아닙니다 |
4. E6
원인 | E6 코드는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 간의 통신 오류를 나타냅니다. 이는 배선 문제나 메인 제어 보드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실내 유닛과 실외 유닛 간의 배선 연결을 점검하세요. 연결이 잘 되어 있고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세요. 배선이 괜찮다면 문제는 제어 보드에 있을 수 있으며, 이 경우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|
5. E7
원인 | E7 에러 코드는 실외 유닛 팬 모터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. 모터 고장, 배선 문제, 혹은 팬이 막혀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E2 코드와 마찬가지로 팬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하고, 제거하세요. 문제가 계속되면 배선을 점검하거나 팬 모터를 교체해야 할 수 있습니다.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|
6. E8
원인 | E8 코드는 주로 컴프레서의 과전류 문제를 나타냅니다. 이는 전기 문제나 컴프레서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전기 연결 상태를 점검하여 잘 고정되어 있고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세요. 문제가 계속되면 컴프레서 고장일 수 있으며, 이는 전문가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합니다. |
에러 코드 종류 (D1)
원인 | d1 에러 코드는 주로 제빙 센서 문제를 나타냅니다. 이는 센서 고장이나 배선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제빙 센서와 배선을 점검하세요. 장애물이나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세요. 필요시 센서를 교체하고, 배선 문제라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|
에러 코드 종류 (F1, F3)
1. F1
원인 | F1 코드는 실내 유닛의 온도 센서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. 이는 센서 고장이나 배선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제빙 센서와 배선을 점검하세요. 장애물이나 손상이 없는지 확인하세요. 필요시 센서를 교체하고, 배선 문제라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|
2. F3
원인 | F3 에러 코드는 실외 유닛의 온도 센서 문제를 나타냅니다. 이는 센서 고장이나 배선 문제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
해결방법 | F1 코드와 유사하게 실외 온도 센서와 배선을 점검하세요. 센서가 손상된 경우 교체하고, 배선 문제는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. |
에러 코드 종류 (88)
원인 | 88 에러 코드는 센서 고장부터 배선 문제까지 다양한 잠재적 문제를 나타내는 일반적인 고장 코드입니다. |
해결방법 | 에어컨을 철저히 점검해야 합니다. 모든 센서와 배선 연결 상태를 확인하세요. 문제가 명확하지 않으면 전문가를 불러 종합적인 진단과 수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 |
함께 보면 좋은 글
'생활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족저근막염 스트레칭, 동영상 따라하기 (0) | 2024.08.27 |
---|---|
에버랜드 자유이용권, 에버랜드 할인, 입장료 할인받는법 (0) | 2024.08.25 |
폭염주의보 기준, 폭염기준온도, 기상청 (0) | 2024.08.21 |
열대야 기준과 온도 (0) | 2024.08.19 |
열사병 증상, 열사병과 일사병의 차이 (0) | 2024.08.17 |